본문 바로가기

미국주식

테슬라(TSLA): 와 싸다..._미국주식x미국개미

반응형

 

 

선요약 : 테슬라(TSLA)를 저렴하게 보이게 하는 중국 전기차 제조사들의 주가와 테슬라가 진짜 싼건지 알아보자.

 

일론머스크 _ 출처:redbubble.com

 

전기차 우호적인 정책으로 니오(NIO), 샤오펑 XPeng(XPEV), 리오토(LI) 같은 중국 전기차 EV 주식은 한 달 만에 아찔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성공적인 생산량 증가와 견실한 판매는 투자자들에게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을 주었다.

테슬라가 자동차 브랜드가 매우 강한 전기차 제조사임에도 불구하고, 중국 전기차 주식의 가치 평가는 테슬라를 값싸게 보이게 만들고 있다.

업계 전체가 과대평가됐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지만 투자를 해야 한다면 테슬라는 이제 흥미로워 보인다.

 

 

 

11월에는 전기 자동차 제조업체들이 큰 인기를 끌었다.  

미국에서는 시장 참가자들이 조 바이든의 대선 승리를 응원하면서 다우존스산업평균지수(DIA)가 사상 처음으로 3만선을 돌파했다.

특히 EV 제조사 투자자들은 EV 채택을 기후정책의 핵심으로 삼은 조바이든 대통령 당선인이 곧 운전석에 앉게 될 것이라고 흥분했다.

그의 캠페인은 "50만 충전 포인트의 네트워크를 위한 자금 조달, 그것을 구매하는 사람들을 위한 세금 공제, 연구 개발 자금을 위한 자금"을 포함한 EV로의 전환을 가속화하기 위한 몇 가지 정책을 내놓았다.

업계 선두주자인 테슬라(TSLA)는 물론 정책에서 가장 많은 이익을 얻고 있다. 

S&P 500 지수 위원회의 12월부터 테슬라를 잘 팔린 지수에 포함하기로 한 결정은 투자자들의 관심을 더욱 높였다. 

동시에 펀드매니저들이 주식을 사기 위해 앞다퉈 애쓰고 있다.

 

 

중국은 11월 초 중국의 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수소전기차 판매가 현재 5%에서 2025년까지 전체 신차 판매의 20%로 증가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발표했다.

중국자동차공학회(SAE-China)와 산업정보기술부가 내놓은 청사진은 전기, 플러그인 하이브리드, 연료전지 등 하이브리드 자동차와 NEV가 2035년까지 전체 신차 판매량의 절반 정도를 차지할 것이라는 내용이다.

이에 따라 테슬라와 함께 주가가 상승하는 모습을 자주 목격해온 중국 상장사 EV업체들은 결국 자신들의 장점에 따라 투자자들의 관심을 받았다.

믿기 힘들겠지만, 지난 한 달 동안, 테슬라는 EV 산업의 새로운 스타인 니오(NIO), 샤오펑XPeng(XPEV), 리오토(LI)를 크게 밑돌았다. 트로이카는 98% 오른 221%로 테슬라의 36%에 불과했다.

엎친 데 덮친 격으로, 심하게 뒤처진 성능은 지난 며칠을 포함해 중국 전기차 이름들의 차익실현/패닉 판매로 인해 약간 완화될 뿐이었다. 예를 들어, 주주들은 과대평가된 "공격"과 중국 당국의 특정 EV 프로젝트에 대한 조사 소식을 피해야 했다.

또한, 중국 전기차 업체 BYD는 주가가 테슬라를 간신히 앞질렀다.

 

전기차 업체들 주가 비교 _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모든 긍정적인 발전과 밝은 미래를 가진 테슬라가 자신들이 지배하고 있는 산업에서 뒤떨어져 있다는 사실이 놀랍다. 따라서 나는 테슬라가 중국 동료들과 비교했을 때 상대적으로 저평가되어 왔다는 것을 여기서 주장하고자 한다.

테슬라는 니오 등 중국 전기차 업체들에 비해 저평가된 모습을 보이고 있다.

다음 표에서 알 수 있듯이 테슬라는 가치 면에서 좋지 않은 점수를 받고 있는 반면(여기서는 놀랄 일이 아니다) 니오는 별로 나아지지 않았다.

다만 성장과 수익성에서는 테슬라가 니오에 비해 월등히 높은 점수를 받고 있다. EV 부문에 투자할 때 성장이 우리가 추구하는 것이 아닌가? 

 

테슬라와 니오의 퀀트 팩터 등급 _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이 수치를 보면 중국 전기차 3사의 판매대 가격비율이 12개월 기준으로 30배 이상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테슬라의 P/S 비율은 18배다. 

기업가치 대 매출비율을 보면 테슬라의 19배는 중국 동종 업체의 39~214배에 비해 거저나 다름없다.

가장 중요한 것은 테슬라가 영업에서 수십억의 현금을 창출하고 있는 반면 

니오는 현금을 태우고 있다는 점이다.

니오가 'D'를 얻었을 때 테슬라가 밸류에이션에서 'F' 등급을 받는 것이 공평한지 잘 모르겠다.

 

 

테슬라 TSLA

니오 NIO

샤오펑 XPEV

리오토 LI

Price/Sales [TTM]

18.11

31.56

30.93

34.94

EV/Sales [TTM]

18.76

39.13

87.34

214.10

Gross Profit Margin

21.14%

3.83%

0.37%

6.00%

EBITDA Margin

14.26%

-43.29%

-111.13%

-141.24%

Cash from Operations

4.35B

-368.77M

-452.98M

-206.62M

 

분석가들은 테슬라의 포워드 P/S ratio가 2022년 컨센서스 548억8,000만달러의 매출 추정치를 기준으로 9.9배로 줄어들 수 있다고 전망하고 있다. 

이는 2019년 매출 245억8000만 달러보다 두 배 이상 늘어난 것이다. 

테슬라가 역사적으로 놓친 것보다 더 많은 revenue beats를 딜리버리했다는 점을 감안하면 실제 P/S 비율은 더 낮을 수 있다.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반면 애널리스트들은 Nio가 얼마간의 무서운 수익 증가 이후 10.7배의 P/S 비율을 기록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테슬라와 마찬가지로 니오는 놀라운 수익을 낼 수 있었다. 1분기를 제외한 것이다.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그럼에도 불구하고, 이런 놀라운 성장 추정치를 가지고, 분석가들이 과거에 테슬라에서 사용했던 것과 같은 비판적 자세를 니오에 적용했는지 궁금하다. 

 

니오가 애널리스트들의 기대에 부응할 수 있을까? 그럴 수 있다 하더라도 니오의 P/S 비율은 2년 후 테슬라보다 여전히 높을 것이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수익성이 궁금하다면, 니오에 대한 컨센서스 하에 긍정적인 EPS를 갖기 위해서는 향후(2023년 12월까지의 재정 기간)에 더 깊이 들어가야 할 것이다.

그때쯤이면 테슬라는 EPS에서 6.18달러를 벌어들여 93배의 포워드 P/E를 얻을 것으로 예상되는데, 이것은 두 자릿수 비율이다

 

 

출처:https://seekingalpha.com/article/4392321-chinese-evs-are-making-tesla-look-cheap

 

 

중국 전기차 업체들은 중국내 경쟁이 치열할 것으로 보인다.

중국 전기차 업체들의 주가 급등은 투자자들의 치열한 경쟁 상황을 인지하고 있는지 궁금하다.

테슬라는 서비스 시장에서 신뢰할 수 있는 순수 EV 경쟁자가 없는 반면

중국 경쟁업체들은 같은 중국내 구매자들에게는 잠재적으로 치열한 경쟁 상대다.

현재 직접적인 경쟁을 피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숙달되어 있지만, 결국 테슬라를 포함한 각각의 틈새 시장을 공략하기 위해 그들의 제품 범위를 넓히고 서로 충돌해야 할 것이다.

텐센트 홀딩스 니오 지분이 16.3%인 반면

알리바바 그룹(BABA)은 샤오펑 XPeng 지분 14%를 보유하고 있다.

음식 배달 및 라이프스타일 서비스 플랫폼 운영자 Meituan-Dianping은 리오토 2대 주주다.

 

세 곳의 인터넷 거물들은 대리전 방식으로 EV 공간에서 서로 경쟁할 태세다.

니오는 지난 4월 허페이 시정부로부터 10억 달러의 자금 투입을 확보했다.

거래 조건의 일부로서, 니오는 상하이에서 본사를 이전하고, 헤페이의 기업에 핵심 자산과 사업을 투입해야 했다.

이미 XPeng에 투자했던 광저우 정부는 지난 9월 이 EV 메이커에 의해 시내에 새로운 자동차 공장을 짓는데 40억 위안(약 6억 8백만 달러)을 추가로 투자했다. 

리오토는 차례로 창저우와 샤먼의 시 정부로부터 자금을 지원받았다.

하지만 테슬라는 위와 같은 비슷한 고민이 없다.

 


테슬라의 기술적 이점은 그것을 희망보다 훨씬 앞서게 한다.


테슬라는 전 직원이 오토파일럿 소스 코드를 복사해 중국 전기차 제조사에 반입한 혐의를 두고 있어 현재 XPeng을 상대로 소송을 벌이고 있다. 아이러니하게도, XPeng은 최근 2021년에 생산된 자사의 대중 시장 차량에 LiDAR 센서를 장착하기 시작할 것이라고 발표했다.

이번 LiDAR 채택은 테슬라가 LiDAR에 의존하지 않기 때문에 XPeng이 테슬라의 오토파일럿 소스 코드의 혜택을 본다는 주장과 배치된다. 

그러나 여기서 문제의 핵심은 2019년 일론 머스크가 비싸고 불필요하다고 말한 LiDAR 센서를 XPeng이 채택할 것이라는 점이다.

발표일이 불과 며칠 지나지 않아 애널리스트들은 추가 비용에 대해서는 아직 고려하지 않고 있다. 

그것은 XPeng의 수익성을 향한 길이 더 연장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오토파일럿 연구 분야의 진보 외에도 테슬라는 자신이 다져놓은 제조상의 기술에 대해 칭찬받아야 한다. 

반대로 중국의 EV 명칭은 작동 및 제조 경험이 훨씬 짧다. 

사실, 니오는 여전히 모든 자동차를 생산하기 위해 국영 자동차 회사에 의존하고 있다. 

니오의 수익성과 밸류에이션이 계속 급등하고 있어 계약 제조업체의 부담이 커질 수 있다.



Risk 위험
테슬라의 장밋빛 전망에는 중국의 자동차 성장 스토리가 담겨 있다. 지

난 8월 웨드부시증권 애널리스트 댄 아이브스는 2022년까지 매출의 약 40%가 중국 시장에 귀속될 수 있다고 추정했다. 

여기서 기인하는 두 가지 질문이 있다: 1) 예측이 너무 낙관적인가? 2) 테슬라가 정말 수익을 '지켜줄 수 있을까'

존 엥글은 10월 기사에서 테슬라가 중국제 자동차를 살 충분한 중국내 구매자를 찾는 것에 대해 의문을 제기했다.

같은 달 모건스탠리(MS) 애널리스트 애덤 조나스도 테슬라가 "2030년까지 중국 내 판매량을 제로화할 것"이라고 시사했다. 통제할 수 없는 테슬라 제조 자율주행차 네트워크의 전국 주행을 허용하지 않겠다는 생각이었다.

또 다른 SA 기고자인 몬태나는 테슬라가 "중국 기업으로 변모했을 것"이라며 일론 머스크가 중국 내 자회사에 대한 지배력을 잃을 수 있다고 우려했다.

극단적 시나리오가 흐지부지되더라도 몬태나는 "중국 정부가 50년 토지 보조금 취소권을 갖고 있다"고 우려했다.

그것은 악몽과도 같은 결과가 될 것이고 테슬라의 전망과 가치평가에 분명히 큰 타격을 줄 것이다.

결론
우호적인 정책으로 니오 같은 중국 EV 주식은 한 달 만에 아찔한 수준으로 올라섰다. 

성공적인 생산량 증가와 견실한 판매는 투자자들에게 밝은 미래에 대한 확신을 주었다.

하지만, 그런 폭등한 가치는 현재 테슬라를 저렴해 보이게 만들고 있다.

이는 테슬라가 전기차 제조사로서 매우 강력한 브랜드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말이다. 

그것의 규모의 경제와 기술 발전은 경쟁자들보다 우월한 이윤을 보장한다.

테슬라에 투자하면 공격받기 쉬운 공매도(예: 머디 워터스, 씨트론 리서치)로 인한 주기적인 충격도 피할 수 있다.

산업 전체가 과대평가되어 있다는 주장이 나올 수 있다.

다만 업계 전망을 믿고 투자할 관련주를 찾는 투자자들에게 테슬라는 이제 흥미로워 보인다.

 

#출처 : seekingalpha.com

 

 

# 본 글 주식 매수 매도 추천이 아닙니다. 본 글에서 거론된 주식의 매수,매도는 투자자 본인의 판단이며 그 결과 또한 투자자 본인의 책임입니다.

 

 

 

 

 

728x90
반응형